[기타] 2023 SNU-UPenn 우송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개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학장: 강창우 독어독문학과 교수)에서 주관하는 2023 SNU-UPenn 우송 한국학 국제학술대회가 2023년 12월 15일 금요일 09:40부터 총 3일간, 인문대학 4동 국제회의실(302호)에서 개최된다. 이번으로 9회째를 맞이하는 우송 한국학 국제학술대회는 한국 문화의 국제화라는 우송 김학봉 기부자의 뜻에 따라 우송한국학 기금을 활용하여 진행되며, 한국학을 전공하는 국내·외 대학원생들의 학술교류, 한국 문화의 국제화 및 한국학 연구 영역의 확대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의 행사는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의 축사와 이석재 전 인문대학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전체 6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각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와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속의 교수 및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세션별 토론 및 발표는 2023년 12월 15일과 16일 이틀 동안 계획되어 있으며, 17일에는 해외에서 온 참가자들과 함께 현장 탐방을 통해 한국학을 폭넓게 경험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올해의 행사는 안지현 조직위원장(영어영문학과 교수)을 중심으로 하여, 인문대학 기획행정실(기획부학장: 정요근 역사학부 교수)의 지원 아래 준비되어 진행되고 있다.
1. 행사 일시: 2023. 12. 15.(금) ~ 2023. 12. 17.(일)
2. 행사 장소: 인문대학 4동 302호 국제회의실
3. 우송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세션별 발표 내용
⃝ 1일차(2023년 12월 15일)
- 세션1 (사회: 정길수 교수,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룩이준(서울대, 철학과): 이이 철학의 ‘혼륜(渾淪)’ 개념 연구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단비(서울대, 철학과): 고대소설 <방한림전>을 통해 보는 성소수자의 삶과 조선 시대 전통 덕목의 양립가능성
이승연(서울대, 중어중문학과): 《우소암비점문선심결(虞邵庵批點文選心訣)》의 편찬과 유행: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당송문(唐宋文) 수용 양상
이현선 교수(서울대, 철학과): 세션 후 토론 진행
- 세션2 (사회: 이동원 교수, 서울대 역사학부)
조윤빈(UPenn, Comparative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변화하는 한국 미디어 환경 속의 영화 내레이션: 변사의 유산으로서의 방구석1열
배소윤(서울대, 영어영문학과): 훼손된 몸의 기억과 연대: 『소년이 온다』의 광주 민주항쟁 재현과 세계적 연대의 가능성
정우경(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공중 곡예의 글쓰기, 엘리자 슈아 뒤사팡 읽기
신형철 교수(서울대, 영어영문학과): 세션 후 토론 진행
- 세션3 (사회: 안지현 교수,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이소림 교수(UPenn, Assistant Professor of EALC): 몸을 고친다는 것: 퍼포먼스 이론으로 성형수술의 문화담론 재사유하기
이석 교수(UPenn, Associate Director of the James Joo-Jin Kim Center for Korean Studies): 식민지 조선의 스포츠를 보는 새로운 관점
정준영 교수(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식민지 정신의학에서 '정신'을 측정하기:에른스트 크레치머, 서대문 형무소, 그리고 경성제대의 정신의학
⃝ 2일차(2023년 12월 16일)
- 세션1 (사회: 구범진 교수, 서울대 역사학부)
이은선(UPenn, Graduate School ofEducation): 어학당에서 ‘한국어 학습자’ 되기
-(초)국가주의적 언어 이데올로기와 의사소통 레퍼토리 협상-
정지혜(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AI 시대의 윤리적 쟁점과 정책 수립 방안
전수연(UPenn, Moon Family Postdoctoral Fellow in Korean Studies): 지식 경제 시대에 한국과 아르헨티나가 국제 규제 환경에 대처하는 방안
박진호 교수(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세션 후 토론 진행
- 세션2 (사회: 이상엽 교수, 서울대 철학과)
김수영(UPenn, History): 일본 제국의 "처녀회": 농촌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식민지 지도자 육성
모리타 가즈키(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총, 인질, 미디어: 1970년대 탈영병 범죄와 대중적 이미지의 형성
리디아 코쑤(카포스카리 베니스대 동아시아 북아프리카학과, 서울대 국사학과 교환학생): 국제 토론대회와 한국 청년 대표의 웅변: 뉴욕 헤럴드 트리분 유스 포럼의 반공청년 재구성(1952~1961)
홍종욱 교수(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세션 후 토론 진행
- 세션3: 21세기의 한국학의 미래와 전망 (사회: 김건태 교수, 서울대 역사학부)
박태균 교수(서울대, 국제대학원): 보편성과 특수성 사이에서: 21세기 한국학의 방향 모색
손유경 교수(서울대, 국어국문학과): 한국문학의 경계를 다시 생각하다
박현준 교수(UPenn, Professor of Sociology; Director of the James Joo-Jin Kim Center for Korean Studies): 미국에서 한국학 하기: 동아시아 지역학으로서의 한국학과 분과학문 안에서 한국 연구하기
- [포스터]SNU-UPenn 우송 한국학 국제 학술대회.jpeg (10 MB, download: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