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시내 조교수 / Yang, Sinae
본교부임 : 2025년
전공 : 독문학(독일희곡)
위치 : 2동 412호
전화 : 02-880-8905
메일 : cineyang@snu.ac.kr

연구분야
독일어권 근현대 드라마, 드라마 이론 및 동시대 독일어권 연극
학력
- 2013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박사
- 2005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
- 1999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사
경력
- 2022-2025 국립창원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교수
- 2021-202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7-2020 서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사
- 2016-2017 훔볼트 대학교 방문연구원
- 2014-2016 서울대학교 시간 강사
게재연월 | 논문제목 | 학술지명 | 역할 |
---|---|---|---|
202509 | 횔덜린의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번역비평적 시도 - “과도한 고양을 ‘향/반’하여 그리스적 절제로” | 독어독문학 | 교신저자 |
202503 | 비밀과 거짓말의 수행적 역동성 - 분석극의 시학으로 『오이디푸스 왕』과 『깨어진 항아리』 ‘함께’ 읽기 | 독어독문학 | 단독 |
202412 | E.T.A. Hoffmanns Nussknacker und Mausekönig in Korea. Zur Problematik der Mündlichkeit im Übersetzungsprozess. | Zeitschrift für interkulturelle Germanistik | 주저자 |
202412 | 디지털 인문학과 독일 문학 새로 읽기: 텍스트 마이닝으로 읽은 페터 바이스의 『수사』 | 독어독문학 | 교신저자 |
202408 | 신화와 비극의 탈신화화 - 괴테 『프로메테우스』 단편(斷片)을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2406 | 문학 번역에서의 장르 - 게오르크 뷔히너의 드라마 『당통의 죽음』을 사례로 | 독일어문학 | 단독 |
202403 | 아르투어 슈니츨러 희극론 - 『베른하르디 교수』와 『핑크와 플리더부쉬』의 ‘결말’을 중심으로 | 독일어문학 | 단독 |
202312 | 세기말 빈의 반유대주의와 오늘날의 혐오사회 - 동시대 연극을 통해 슈니츨러의 『베른하르디 교수』 다시 읽기 | 독일어문학 | 단독 |
202308 |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변이와 비극의 변형 - 아이스퀼로스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의 분석적 고찰 | 독일언어문학 | 단독 |
202306 | 중세 도덕극의 현대적 재해석과 상호텍스트성 - 후고 폰 호프만스탈의 『예더만. 돈 많은 사람의 죽음에 관한 연극』 | 독어독문학 | 단독 |
202304 | Zur Didaktisierung von Modalpartikeln im koreanischen DaF-Unterricht | 인문과학 | 교신저자 |
202212 | 대학 초급독일어 강좌와 교재분석 - 비대면 수업에서의 국내 교재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주저자 |
202208 | 비극에서의 ‘영웅’에 관한 소고(小考) - 셰익스피어의 『코리올라누스』와 브레히트의 『코리올란』을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2111 | ‘번역문학가’ 전혜린 | 독일언어문학 | 단독 |
202109 | 문학에 나타난 이국과 타자상 - 하인리히 뵐의 『아일랜드 일기』와 알프레트 안더쉬의 「더 아름답게 살기」에 나타난 아일랜드 상을 중심으로 | 독일어문학 | 단독 |
202108 | 재판소로서의 극장 - 독일어권의 정치극 전통과 밀로 라우의 <콩고 재판소>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2107 | 베스트셀러의 외국어 교육 활용 방안 - 마크-우베 클링 『캥거루 연대기』의 다매체성을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단독 |
202008 | 부조리와 메타극의 관계 고찰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클라우스 파이만은 바지를 사고 나와 밥을 먹으러 간다』를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1908 | 연극과 재판 -페르디난트 폰 쉬라흐의 『테러』를 통해 살펴본 토론장으로서의 재판극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1808 | 고대 비극의 현대적 차용: ‘사자(使者)' 활용의 예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연극텍스트 『레히니츠(절멸의 천사)』를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단독 |
201803 | 입센 사회극의 토론극적 요소 - 『민중의 적』 4막에 나타난 브레히트적 연출 가능성 고찰 | 독어독문학 | 단독 |
201612 | 고향의 탈신화화와 이방인 문제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토텐아우베르크』에 나타난 여행자와 이민자 | 독일어문화권연구 | 단독 |
201606 | 입센 『인형의 집』 ‘이어쓰기’의 두 사례 - 채만식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엘프리데 옐리네크 『노라가 남편을 떠난 후 일어난 일 또는 사회의 지주』 | 카프카연구 | 단독 |
201406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로베르트 발저론- (반)정체성과 성공의 탈신화화 | 카프카연구 | 단독 |
발행연월 | 제목(저서명) | 발행처명 |
---|---|---|
202503 | A. 슈니츨러: 광활한 영토 | 지만지드라마 |
202411 | A. 슈니츨러: 베른하르디 교수 | 지만지드라마 |
202102 | 브레히트 연극사전 [공저] | 한국외국대학교출판부 |
발표일자 | 학술대회명 | 발표제목 | 개최기관 |
---|---|---|---|
20241116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4 가을 정기 학술대회 | ‘학살기계 Vernichtungsmaschinerie’ 아우슈비츠 수용소 - 페터 바이스 『수사』에 나타난 대학살의 경제학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240419 | 2024년 봄철 연합학술대회 | 드라마 번역에 관한 소고(小考) - G. 뷔히너 『당통의 죽음』을 사례로 | 한국독어독문학회 |
20231215 | 2023 한국브레히트학회 통영포럼 | 드라마 번역에 관한 소고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중심으로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231020 | 한국독일어문학회/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추계연합학술대회 | 비밀과 거짓말(의 수행성) - 분석극의 시학으로 『오이디푸스 왕』과 『깨어진 항아리』 ‘같이’ 읽기 | 한국독일어문학회/한국독일언어문학회 |
20230909 | 한국카프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 ‘선’을 넘는 자.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비극적’ 희극 『베른하르디 교수』 고찰 | 한국카프카학회 |
20221112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2 가을정기학술대회 | 영토화된 텍스트와 지하(실)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연극텍스트 쓰기에 관한 한 견해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210911 | 한국문학번역연구소 정례학술대회 | '번역문학가' 전혜린 | 한국문학번역연구소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 연구소 |
20210219 | 2021 한국브레히트학회 겨울정기학술대회 | 재판소로서의 극장 - 독일어권의 정치극 전통과 밀로 라우의 <콩고 재판소>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191102 | 2019 한국브레히트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미니드라마에 나타난 부조리성과 메타연극의 관계성 고찰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180207 | 2018 겨울정기학술대회 및 통영포럼 | 입센 사회극의 토론극적 요소 - 『민중의 적』 4막에 나타난 브레히트적 연출 가능성 고찰 | 한국브레히트학회 |
20160422 | 2016년 한국독어독문학 봄철연합학술대회 | 고향의 탈신화와 이방인의 문제: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토텐아우베르크 Totenauberg』에 나타난 '여행자'와 '이민자' | 한국독어독문학회 |
20140418 | 2014년도 한국 독어독문학 관련 학회 연합학술대회 | (반)정체성과 성공의 탈신화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로베르트 발저론 | 한국독어독문학회 |
연구기간 | 연구과제명 | 지원기관 |
---|---|---|
202506~202602 | 빠름과 느림 - 속도의 시학으로 기술 시대 독일 문학 읽기 | 교육부 |
202306~202405 | 분석극의 시학: 비밀과 거짓말의 역학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과 클라이스트 『깨어진 항아리』를 중심으로 | 교육부 |
202303~202502 |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차용과 변용 -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와 괴테의 단편 『프로메테우스』를 중심으로 | 국립창원대학교 |
202203~202302 | 비극에서의 `영웅`에 관한 소고(小考) - 셰익스피어의 비극 『코리올라누스』와 브레히트의 『코리올란』 비교 고찰 | 국립창원대학교 |
202009~202108 | 재판소로서의 극장 - 밀로 라우의 <콩고 재판소>와 글로벌 리얼리즘에 관한 고찰 | 교육부 |
201909~202008 | 부조리성과 메타연극의 관계성 고찰-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클라우스 파이만은 바지를 사고 나와 점심을 먹으러 간다』를 중심으로 | 교육부 |
201709~201808 | 연극과 재판: 페르디난트 폰 쉬라흐의 『테러』를 통해 살펴본 토론장으로서의 재판극의 가능성 | 교육부 |
201509~201608 | 고대 비극의 현대적 차용: ‘사자(使者)’ 활용의 예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연극텍스트 『레히니츠. 목 조르는 천사 Rechnitz. Der Würgeengel』 | 교육부 |
활동기간 | 기관 | 직책 |
---|
활동기간 | 제목 | 직책 |
---|---|---|
202501~ | 한국독어독문학회 | 총무이사 |
202501~ | 한국독일어문학회 | 국제이사 |
202501~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 출판상임이사 |
202501~ | 한국브레히트학회 | 연구상임이사 |
202501~ | 한국카프카학회 | 연구이사 |
202401~202412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 연구상임이사 |
202301~202412 | 한국독일어문학회 | 국제이사 |
202301~202412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 연구이사 |
202301~202412 | 한국브레히트학회 | 출판상임이사 |
202301~202412 | 한국카프카학회 | 부회장 |
202103~202212 | 한국브레히트학회 | 총무이사 |
202101~202212 | 한국독어독문학회 | 편집출판이사 |
202101~202212 | 한국카프카학회 | 연구상임이사 |
202001~202112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 편집이사 |
201903~202102 | 한국브레히트학회 | 연구이사 |
201703~201902 | 한국브레히트학회 | 홍보이사 |
201501~201612 | 한국카프카학회 | 출판이사 |
활동기간 | 제목 | 직책 |
---|
구분 | 활동기간 | 내용 | 비고 |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50829 | H. 뵐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었느냐』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하계워크샵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50225 | F. 쉴러『도적떼』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동계워크샵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40912 | 오스트리아, 빈 그리고 엘프리데 옐리네크 - 키워드로 읽어보는 옐리네크의 문학세계 | 중앙대학교 중앙게르마니아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40816 | M. 프리쉬 『안도라』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하계워크샵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40621 | 문학 번역과 드라마 장르 - 대사 번역사례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40123 | G. 뷔히너 『당통의 죽음』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동계워크샵 |
공개강좌 및 강연회 | 20231207 | 세기말 빈의 반유대주의와 오늘날의 혐오 사회 2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특강 |
공개강좌 및 강연회 | 20231205 | 세기말 빈의 반유대주의와 오늘날의 혐오 사회 1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특강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30811 | H. 클라이스트 『깨어진 항아리』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하계워크샵 |
공개강좌 및 강연회 | 20230414 | 번역가의 초상. 전혜린과 번역문학가 |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특강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30216 | B. 브레히트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동계워크샵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20217 | B. 브레히트 『서푼짜리 오페라』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동계워크샵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10809 | E.T.A. 호프만 『호두까기인형』의 번역비평 | 인문학연구소지원사업 <독일문학번역DB와번역비평> 하계워크샵 |
일반인대상 교육 및 홍보 | 202106~202108 | 연극과 드라마에서 찾는 삶의 지혜 | 도서관 지혜학교 (광진정보도서관) |
기타학술 및 예술활동 | 20210511 | 전공특강 <독일 연극이야기> | 강원대학교 독어독문학과 |
일반인대상 교육 및 홍보 | 201903~201906 | 연극에서 찾는 삶의 지혜 | 도서관 지혜학교 (강남구립청담도서관) |
일반인대상 교육 및 홍보 | 20160713 | 장벽 이야기. 독일의 분단과 통일 | 책으로 읽는 독일 & 단양 상상의 인문학 |
일반인대상 교육 및 홍보 | 20131224 | 당당한 리더 관악 여성 <여성과 문학> | 관악구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