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김상환 교수 / Kim Sang-Hwan
본교부임 : 1995년
전공 : 프랑스철학
위치 : 6동 405호
전화 : 02-880-8067
메일 : kimsh@snu.ac.kr
김상환
연구분야
프랑스철학
학력
  • . Univ. de Paris IV (Paris - Sorbonne) 철학박사
경력
  • . 연세대학교(원주) 철학과 조교수
게재연월 논문제목 학술지명 역할
202112 김수영과 온몸의 윤리 대산문화 단독
202109 김수영과 온몸의 시학 대산문화 단독
202106 김수영과 온몸의 사유 대산문화 단독
202003 사건 모든시 단독
201903 계보학 모든시 단독
201912 문자/글쓰기 모든시 단독
201909 고고학 모든시 단독
201909 인문학의 미래: 인공지능 시대에 되돌아보는 생각의 의미 단독
201906 Publicness in the Confusian Sense and the Scholar-Gentry Spirit ECO-ETHICA 단독
201803 자기기만 모든시 단독
201812 내재성 모든시 단독
201812 Interdependence in the Confucian World View: From the Idea of Fengjin (Landscape) ECO-ETHICA 단독
201809 주이상스/향락 모든시 단독
201806 차연 모든시 단독
201707 Confucian Golden Mean as Justice ECO-ETHICA 단독
201712 모든시 단독
201709 들뢰즈와 과타리의 욕망의 윤리학 세계시민 단독
201708 분자적 지각 모든시 단독
201505 온몸의 춤, 온몸의 논리- 김수영의 시학에서 무용학으로 무용예술학연구 단독
201509 Ethics of Shame and Ethics of Unhappy Consciousness ECO-ETHICA 단독
201309 창의적 사고의 논리 철학과 현실 단독
201312 공자와 김수영 철학과 현실 단독
201203 이미지 없는 신체 철학과 현실 단독
201209 Imagination entre poesie et science ECO-ETHICA 단독
201103 김수영과 시적 이행의 문제 문예운동 단독
201112 스티브 잡스의 사과와 예술적 상상력 철학과 현실 단독
201112 프로이트, 메를로퐁티, 그리고 새로운 신체 이미지 프랑스철학 단독
201110 Eco-ethica as New Narrative on Culture ECO-ETHICA 단독
201109 Stand by Your Man! 이것이 인문학의 노래다 철학과 현실 단독
201106 글쓰기 단상: "나는 가수다"를 보고서 철학과 현실 단독
201106 예술적 상상력과 사회적 상상력 공연과 이론 단독
201106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 기호학 연구 단독
201103 철학의 동쪽 불교평론 단독
201103 박동환의 3표론과 현대 차이의 철학 인문과학 공동참여
201003 인문적 상상력과 사회적 상상력: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인문주의 재고 동방학지 단독
201012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기호학 연구 단독
201005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철학사상 단독
200909 Psychoanalysis and Scenes of Night in Narratives on Culture Concentric 단독
200802 데리다의 텍스트 철학사상 단독
200812 대과 시대의 글쓰기 창작과 비평 단독
200809 대과 시대의 정치적 리더십 철학과 현실 단독
200704 들뢰즈의 CsO론 안과밖:영미문학연구 공동(교신)
200712 새로운 인문학적 상상력의 조건 국어국문학 단독
200712 구조주의 이후의 차이 개념 기호학연구 단독
200708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개인의 본질: 근대적 개인의 형성1 공동(교신)
200706 초월론적 경험론이란 무엇인가 철학과 현실 공동(교신)
200704 들뢰즈의 CsO 안과밖:영미문학연구 단독
200607 삶이라는 숭고한 대상 오생근 깊이읽기 공동(교신)
200612 데카르트, 프로이트, 라깡: 어떤 평행관계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공동(교신)
200610 데리다의 CsO론: 들뢰즈 비판을 위한 입론 안과밖:영미문학연구 공동(교신)
200608 Sur la difference: entre Derrida et Deleuze 프랑스 철학 공동(교신)
200503 탈근대의 동양과 서양: 현대 철학사에 대한 헤겔식 농담 철학과 현실 공동(교신)
200511 보드리야르와 들뢰즈: 시뮬라크르에서 선으로 현대비평과 이론 공동(교신)
200510 Nietzsche und Derrida: die Geburt der neun Hermeneutik Nietzsche: Ruettler an hundertjaehriger Philosophietradition 공동(교신)
200509 현대적 차이 개념: 헤겔적 입문 문학판 공동(교신)
200404 해체론의 선물: 데리다와 교환의 영점 현대비평과 이론 공동(교신)
200302 텍스트의 배후: 해체론적 기록 문학판 공동(교신)
200302 데리다의 구조주의 비판 눈오는 밤에 듣는 인문학 이야기 공동(교신)
200202 화폐, 언어, 무의식: 탈근대의 범례들 철학연구 공동(교신)
200210 철학, 해체인가 구성인가: 해체론과 철학적 건축술의 역사 철학연구 공동(교신)
200205 라깡과 데카르트: 에고 코기토에서 무의식적 주체로 라깡의 재탄생 공동(교신)
200204 상징 우리말철학사전2 공동(교신)
200202 기표의 힘, 실재의 귀환: 라깡과 데리다 사이에서 철학 공동(교신)
200201 스포츠, 근대성 그리고 정치 철학과 현실 공동(교신)
200103 테크놀로지 시대의 동도서기론 창작과비평 공동(교신)
200005 니체, 프로이트, 마르크스 이후: 새로운 해석학의 탄생 현대 비평과 이론 공동(교신)
200012 물신과 아우라: 문학의 크기에 대하여 세계의 문학 공동(교신)
200010 사이버 시대의 존재론적 이해를 위하여 철학논총 공동(교신)
200008 시[시간]와 시: 김수영론 포에지 공동(교신)
200008 니체와 데리다: 새로운 해석학의 탄생2 니체가 뒤흔든 철학 100년: 니체 서거 100년 기념논문집 공동(교신)
200003 차이의 성좌: 아도르노에서 데리다까지 비평 공동(교신)
199901 디지털 혁명은 존재론적 혁명이다: 정보화 시대의 존재론적 화두 세 가지 철학과 현실 공동(제1)
199908 철학(사)의 안과 밖: 다시해체론이란 무엇인가 철학 공동(제1)
199905 영상과 더불어 철학하기: 그 세 가지 사례에 대하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공동(제1)
199901 탈현대 사조의 공과: 철학사의 관점에서 현대철학강좌: 호남신학대학교 해석학연구소 연구논문집 공동(제1)
199901 해체론, 경험론, 초월론: 데리다의 레비나스론 소고 이 땅에서 철학하기: 우리사상연구소 논총 공동(제1)
199901 노장과 해체론 철학연구 공동참여
199901 데리다와 은유 기호학 연구 공동(교신)
199901 해체론과 이론의 정치성 비평 공동(제1)
199901 철학이 동쪽으로 간 까닭은: 20세기 사상사의 회고 문학과 사회 공동(제1)
199801 천년 동안의 사색 : 철학사를 보는 한 관점 과학사상 공동(교신)
199801 철학과 시의 관계 : 처음을 위한 관계 현대비평과 이론 공동(교신)
199701 예술작품 속의 유령: 데리다와 자율미학의 종언 라쁠륨
199701 탈현대 사조의 공과: 철학사의 관점에서 현대 비평과 이론
199701 심미적 이성의 귀향: 김우창의 초월론 소고 포에티카
199701 해체론과 철학적 건축술의 역사 창작과 비평
199601 데리다와 은유 현대 비평과 이론
202103 김수영과 온몸의 존재 대산문화 단독
199601 철학의 두 가지 초상 철학과 현실
199601 해체론 시대의 예술 문학과 사회
199601 데리다의 해체론 인문과학
199501 은유와 해체 언어철학연구
199501 미의 초월성과 인공미 언어철학연구
199501 데카르트의 '형이상학' 고전 형이상학의 전개
199501 해체론 시대의 인문주의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흐름을 읽는다
199501 매체와 공간의 형이상학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흐름을 읽는다
199501 우리시와 모더니즘의 변용-김수영의 경우 오늘의 한국 지성, 그 흐름을 읽는다
발행연월 제목(저서명) 발행처명
202311 두상적성공화 심중적도덕법칙 중국출판집단 현대출판사
202310 이야기꾼과 놀이꾼: 서사와 창의성 [공저] 이학사
202209 일꾼과 이야기꾼: 서사적 주체 이학사
202109 이야기의 끈 이학사
202108 x의 존재론을 되묻다 [공저] 사월의 책
201906 왜 칸트인가 21세기북스
201811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 에피파니
201803 문화의 안과 밖: 고전강연 1 [공저] 민음사
201803 문화의 안과 밖: 고전 강연 4 [공저] 민음사
201607 융합 인문학 [공저] 이학사
201606 공자의 생활난: 김수영과 논어 북코리아
201601 동서의 학문과 창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공저] 이학사 [서울]
201504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공저] 이학사 [서울]
201412 과학적 사유와 인간 이해 [공저] 민음사 [서울]
201410 문화 정체성, 차이 [공저]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서울]
201408 예술과 삶에 대한 성찰 [공저] 민음사 [서울]
201312 처음 읽는 윤리학 [공저] 동녘 [서울]
201208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서울]
200906 정명환 깊이 읽기 [공저] 문학과지성사 [서울]
200812 좋은 책 선정위원회가 고른 신고전 50선 [공저] 중앙일보NIE연구소 [서울]
200510 Nietzsche: Ruettler an hundertjaehriger Philosophietradition Abera Verlag [독일]
200403 차이와 반복 민음사 [서울]
200210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현대프랑스철학의 쟁점 창작과비평사 [서울]
200205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비평사 [서울]
200103 서양근대철학 [공저] 서양근대철학회 [서울]
200009 풍자와 해탈 혹은 사랑과 죽음: 김수영론 민음사 [서울]
199910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민음사 [서울]
199601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서울]
발표일자 학술대회명 발표제목 개최기관
20230513 2023 한국철학자 연합대회: 한국철학의 성과와 기대, 회고와 전망-20세기와 21세기의 프랑스철학 오늘의 지리철학-이상한 세계화의 아침 한국철학회
20230318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동서의 자유개념 비교 네이버 열린연단
20221105 2022 프랑스학회 프랑스문화예술학회 가을 연합학술대회 가상현실의 철학적 이해: 뒤나뮈스의 역사를 위하여 프랑스학회,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20416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인간 존엄성의 근거: 자유, 자율, 이성 네이버 열린연단
20210911 교양서 20 헤겔 <정신현상학>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210501 문화와 문화 정전 푸코 <말과 사물>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210130 문화와 문화 정전 근대 이성의 역사: 데카르트, 칸트, 헤겔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201222 제1회 한국연구원 학술심포지움: 박동환 철학을 되묻다 박동환의 x 존재론과 개체 한국연구원
20200314 네이버 열린연단 2019-2020 문화의 안과 밖: 삶의 지혜 내면 윤리와 사회 규범: 헤겔의 철학 극장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운영위원회
20190511 2019~2020 문화의 안과 밖: 삶의 지혜 성과 욕망: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네이버 열린연단
20181222 서양근대철학회 20주년 기념학술대회: 서양근대 철학과 현대철학의 만남 데카르트와 근대적 자연관의 탄생 서양근대철학회
20181010 The XXXVII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Public Space in the Confucian Sense Tomonobu Imamichi Institute for Eco-ethica
20180324 2018 문화의 안과밖: 동서 문명과 근대 근대적 역사관: 헤겔적 완성 네이버 열린연단
20180113 2018 문화의 안과 밖: 동서 문명과 근대 근대적 세계관의 탄생: 데카르트적 전회 네이버 열린연단
20171005 35th Symposium internationa pour l'Eco-ethica Interdependence in the Confucian World View Institut Tomonobu Imamichi pour l'Eco-ethica
20170513 2017 문화의 안과 밖: 패러다임의 지속과 갱신 들뢰즈와 철학의 귀환 네이버 열린연단
20161015 문화의 안과 밖: 윤리와 인간의 삶 32 향유, 쾌락, 심미적 형식: 향유의 역사를 위하여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161005 The 35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Confucian Golden Mean as Justice Tomonobu Imamichi Institute for Eco-ethica
20160910 문화의 안과 밖: 윤리와 인간의 삶 28 욕망과 기율: 데카르트에서 라캉까지 네이버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160625 2016년 한국프랑스철학회 하계학술대회 김수영과 함께 논어를 읽은 이유: <공자의 생활난>에 대하여 한국프랑스철학회
20151212 한국불어불문학회 창립50주년 기념 동계학술대회 데리다, 들뢰즈, 아르토: 기관 없는 신체를 둘러싼 논쟁 한국불어불문학회
20151128 2015년 한국프랑스철학회 추계학술대회 들뢰즈와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의 두 길: 존재의 일의성과 이미지 없는 사유 한국프랑스철학회
20150815 오늘의 시대와 고전 28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와 <법의 힘>: 해체론적 윤리학을 위하여 네이버 열린 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150418 한국무용예술학회 제20차 학술대회 온몸의 춤, 온몸의 논리: 김수영의 시학에서 무용학으로 한국예술무용학회
20150307 오늘의 시대와 고전 6 오늘의 사상의 흐름: 현대 철학사를 보는 몇 가지 관점 네이버 열린 연단: 문화의 안과 밖
20141002 The 33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Ethics of Shame and Ethics of Unhappy Consciousness Tomonobu Institute for Eco-Ethica
20140917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창립 100주년 기념강좌 김수영과 한국적 인문학의 길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20140728 행복, 잘 산다는 것의 의미 불행한 의식의 윤리학을 넘어서기 공감포럼: 책, 세상을 열다
20140705 문화의 안과 밖: 오늘의 시대에 대한 문화적 성찰 24 학문의 경계와 융합: 두 문화의 합류를 위하여 네이버 열린연단
20140503 문화의 안과 밖: 오늘의 시대에 대한 문화적 성찰 15 철학과 삶: 사유란 무엇인가 네이버 열린연단
20131121 제22회 목요철학향연 들뢰즈의 삼위일체: 욕망, 기계, 생명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0628 제7차 KIAS 초학제 심포지움 창의적 융합의 논리: 분류에서 상상으로 고등고학원 초학제 연구단
20130418 KIAS 초학제 학술대회: 분류, 상상, 창조 초학제연구의 문제들: 분류, 상상, 창조 고등고학원
20120828 고등과학원초학제연구 출범 학술대회 빛과 동서 지식의 세계 고등과학원
20120627 붓다와 서양철학자의 대화 불교사상과 질 들뢰즈 불광연구원
20120529 2012년 봄 후마니타스 북 심포지엄 인문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20120525 한국 뷔흐너 학회 초청강연회 칸트의 상상력 이론과 그 이후 한국 뷔흐너 학회
20120519 Kaifeng International Deleuze Conference Deleuze and Derrida on Difference Henan University
20120407 한국현상학회 월례발표회 프로이트, 메를로-퐁티 그리고 새로운 신체 이미지 한국현상학회
20111028 THE 30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HO-ETHICA Sur l'imagination dans le jugement moral TOMONOBU IMAMICHI INSTITUTE FOR ECHO-ETHICA
20110423 한국기호학회 2011년 춘계 학술대회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 한국기호학회
20101106 한국기호학회 2010년 가을 학술대회 데카르트의 정념론 한국기호학회
20101104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대화-3 들뢰즈의 정치철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0907 UNSW International Research Workshop Deleuze research in Korea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00819 The XIX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Sports, Modrnity, and Politics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20100331 마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1 데카르트와 근대 영혼의 탄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0226 The XXIX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ho-ethica Echo-ethical Conception of the World Tomonobu Imamichi Institut for Echo-Ethica
20090620 라깡과 종교 정신분석과 세계의 밤: 헤겔, 라깡, 지젝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90111 The 3rd BESETO Conference of Philosophy Why Metaphore of Night in Narratives on Culture? A Remark from Structuralist Point of View The University of Tokyo Center for Philosophy
20081205 2008년 동계학술대회 데리다, 들뢰즈 그리고 언어: 구조주의 수용의 두 양상 한국불어불문학회
20080524 Lacan in Context: Psychoanalysis and Politics of Memory Psychoanalysis and Scene of Night in Narratives on Culture Department of Foreign Languages and Literatures National Taiwan University
20080126 20세기 한국철학에서 주체와 타자의 문제 박동환과 타자성의 문제 한국칸트학회
20071207 The 2nd Beseto Conferences of Philosophy An Essay on Sports Peking University
20071130 문학과 철학 데리다의 텍스트론 철학사상연구소, 불어문화권연구소
20071020 정신현상학과 함께 미래로 헤겔과 구조주의 한국헤겔학회
20070925 the XXVI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Rethinking Ethics Today An Essay on Culture: Through the Darkness of Winter Nights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20070518 국어국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새로운 인문학적 상상력의 조건 국어국문학회
20070428 소쉬르 탄신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소쉬르의 현대성과 탈현대성 구조주의 이후의 차이 개념 한국기호학회
20061129 인문학적 상상력: 상상력의 본질 신체, 상상력 그리고 정치 연세대학교 인문학 특성화 사업단
20061118 2006년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정기학술대회(후기) 데카르트와 라깡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61031 24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Body, Modernity and Politics Centre international pour l'etude comparee de philosophie et d'esthetique
20051006 노마디즘-문자/영상문화 노마디즘의 철학과 영상문화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0604 제14차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 해체론의 선물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050527 프랑스학회 2005년 봄-학술대회: 현대사회와 이미지 이미지에서 선으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프랑스학회
20041015 The Twenty 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f Eco-ethica Sur la difference: entre Derrida et Deleuze Centre Internationale pour l'Etude Comparee de Philosophie et d'Esthetique
20030610 연세대학교 제2차 비교문학 심포지엄 데리다와 교환의 영점 연세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과
20030121 눈이 오는 밤에 듣는 인문학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해체론이란 무엇인가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30118 새한영어영문학회 제3회 겨울 학술세미나 문학과 철학 새한영어영문학회
20021108 중앙대학교 독문학 금요콜로키엄 해체 중앙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20021002 원도시 건축 세미나: 인간의 공간은 가능한가 거주의 위기 원도시 건축
20020523 포항공과대학교 문화프로그램 테크놀로지 시대의 동도서기론 포항공과대학 문화프로그램위원회
20020520 군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제4회 초청강연회 철학과 문학 군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0425 서울대학교 제1차 대학원교수집담회 화폐, 언어, 무의식: 탈근대의 범례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0000 우리사상연구소 2001년 추계학술대회보 상징 우리사상연구소
20010000 한국철학회 2001년 춘계학술발표대회보 기표의 힘과 실재의 귀환: 라캉과 데리다 사이에서 한국철학회
20010000 철학연구회 2001년 추계학술발표회보 화폐, 언어, 무의식: 탈근대의 범례들 철학연구회
20001104 2000년 새한철학회 정기학술대회 사이버시대의 존재론적 이해를 위하여 새한철학회
19991203 철학사상연구소 창립 10주년 기념 심포지움 문화와 정보사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9991120 철학연구회 '99 추계학술대회 노장과 해체론 철학연구회
19990921 가톨릭대 인문학연구소 추계 초청강연회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가톨릭대 인문학연구소
19990701 원도시 학술 세미나 해체론과 철학적 건축술의 역사 원도시 건축
19990529 영상문화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영상과 더불어 철학하기 영상문화학회
19990327 한국기호학회 월례발표 데리다와 은유 한국 기호학회
19990320 우리사상연구소 제3회 학술심포지움 해체론, 경험론, 초월론: 데리다의 레비나스론 소고 우리사상연구소
19970000 『문학사상』지령 300호 기념 문학 심포지움 : 이상 사후 60년 집중 재조명 이상 문학의 존재론적 이해
19960000 XXVI$^e$ Congr$\'{e}$s de l'Association des Soci\'{e}$t\'{e}$s de Philosophie de Langue Francaise Descartes en Cor\'{e}$e
19960000 철학연구회 1996 추계발표회: 현대사회와 철학의 정체성 철학, 해체인가 구성인가 철학연구회
19960000 XXVI$^e$ Congr$\'{e}$s de l'Association des Soci\'{e}$t\'{e}$s de Philosophie de Langue Francaise Antinomie entre le cogito cart$\'{e}$sien et le cogito kantien
연구기간 연구과제명 지원기관
2014-06-01 ~ 2015-05-31 세계적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서울대학교 철학교육연구사업단 서울대학교
2012-03-01 ~ 2013-08-31 <2단계 BK21사업 7차년도> 철학교육 연구 사업단 - 대학대응자금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12-03-01 ~ 2013-04-30 <2단계 BK21사업 7차년도> 철학교육 연구 사업단 - 국고지원금 교육과학기술부
2011-03-01 ~ 2012-02-29 <2단계 BK21사업 6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국고지원금 교육과학기술부
2011-03-01 ~ 2012-02-29 <2단계 BK21사업 6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대학대응자금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10-03-01 ~ 2011-02-28 <2단계 BK21사업 5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국고지원금 교육과학기술부
2010-03-01 ~ 2011-02-28 <2단계 BK21사업 5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대학대응자금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09-03-01 ~ 2010-02-28 <2단계 BK21사업 4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국고지원금 교육과학기술부
2009-03-01 ~ 2010-02-28 <2단계 BK21사업 4차년도> 철학교육연구사업단 - 대학대응자금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08-05-01 ~ 2009-02-28 소단위학습 지원 (2008년 대학특성화지원사업-인문대) 교과부/학진
2008-03-01 ~ 2009-02-28 철학교육연구사업단(국고) 교육과학기술부
2008-03-01 ~ 2009-02-28 철학교육연구사업단(대학대응)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2007-06-01 ~ 2008-04-30 소단위 학습지원(2007년 대학특성화지원사업-인문대) 교육인적자원부
2005-01-01 ~ 2005-09-30 기초교육강화 사업(대학 특성화 지원사업) 교육인적자원부
2001-12-01 ~ 2002-11-30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서울대교내연구비
2001-12-01 ~ 2002-11-30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서울대교내연구비
활동기간 기관 직책
활동기간 제목 직책
1998-01-01 ~ 현재 창작과 비평, 계간 문학지 자문위원
1998-01-01 ~ 현재 한국근세철학회 간사
1998-01-01 ~ 현재 한국철학회 연구위원 및 편집위원
1996-01-01 ~ 현재 철학연구회 편집위원
1996-01-01 ~ 현재 현대비평과 이론, 반년간 학술지 편집위원
1995-01-01 ~ 현재 철학과현실, 계간 학술지 편집위원
1998-01-01 ~ 현재 한국기호학회 연구위원
활동기간 제목 직책
2005-09-01 ~ 2009-08-31 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
2005-09-01 ~ 2009-08-31 책읽는 사회 운동 본부 이사
구분 활동기간 내용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