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범진
- 중국근세사 명청시대
- 성명 구범진
- 직위 교수
- 학과 동양사학과
- 전공 중국근세사 명청시대
- 사무실
- 홈페이지
- 이메일 koobum@snu.ac.kr
- 연락처 02-880-6193
프로필
전공
중국근세사(명청시대)
학력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박사(2004)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석사(1996)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사(1991)
경력
- 본교 부임 2007
- 서울시립대학교 조교수
연구
저서
- 『조선시대 외교문서』, 한국고전번역원, 2013.
-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제언과 모색』(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공저), 선인, 2008.
- 『충돌과 착종의 동아시아를 넘어서: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의 자기인식과 대외인식』(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 『명청시대 사회경제사』(21인 공저), 이산, 2007.
역서
- 『吏文 역주』(上·中·下), 세창출판사, 2012.
- 『국역 <同文彙考> 犯越 史料 3』(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11.
- 『국역 <同文彙考> 犯越 史料 2』(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이블린 로스키, 『최후의 황제들: 청 황실의 사회사』, 까치, 2010.
- 레이 황, 『장제스 일기를 읽다: 레이 황의 중국 근현대사 사색』, 푸른역사, 2009.
- 승문원 편, 『국역 <同文彙考> 犯越 史料 1』(2인 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08.
- 승문원 편, 『국역 <同文彙考> 疆界 史料』(2인 공역), 동북아역사재단, 2008.
- 필립 리처드슨, 『쟁점으로 읽는 중국 근대 경제사 1800-1950』(2인 공역), 푸른역사, 2007.
논문
- 「1911년 중국 天津의 외채위기와 長蘆 鹽政 -引岸 “官辦” 방안의 성립과 그 성격-」, 『사림』50, 2014.
- 「조선의 청 황제 성절 축하와 건륭 칠순 진하 외교」, 『한국문화』68, 2014.
- 「1780년 열하의 칠순 만수절과 건륭의 '제국'」, 『明淸史硏究』40(2013), pp. 177-217.
- 「조선의 건륭 칠순 진하특사와 『열하일기』」, 『인문논총』70(2013).
- 「강진아 지음, 『동순태호: 동아시아 화교 자본과 근대 조선』」, 『경제사학』53(2012), pp. 187-192.
- 「大淸帝國の朝鮮認識と朝鮮の位相」, 『中國史學』22(2012), pp. 91-113.
-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역사문화연구』35(2010), pp. 259-294.
- 「淸 嘉慶~道光初 兩淮鹽商 沒落의 原因」, 『동양사학연구』107(2009), pp. 215-269.
- 「19세기 盛京 東邊外 山場의 管理와 朝ㆍ淸 公同會哨」, 『사림』32(2009), pp. 261-302.
- 「淸의 朝鮮使行 人選과 ‘大淸帝國體制’」, 『인문논총』59(2008), pp. 179-228.
- 「1890년대 후반 淸의 러시아 인식: ‘聯俄論’을 중심으로」, 『중국학보』57(2008), pp. 249-270.
- 「淸代 對러시아 外交의 성격과 그 변화: 締約大臣과 交換 條約文의 言語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61(2008), pp. 165-198.
- 「統計로 돌아본 『東洋史學硏究』: 제100집의 발간을 기념하여」, 『동양사학연구』100(2007), pp. 217-247.
강의
기초교양
- 소그룹 고전원전읽기(2007 가을학기)
- 소그룹 고전원전읽기 1(2009 봄학기, 가을학기)
- 소그룹 고전원전읽기 2(2008 가을학기)
전공
- 근·현대중국의 사회와 문화(2007 봄학기, 2008 봄학기, 2009 봄학기)
- 동양사세미나(2007 봄학기)
- 동양사원전강독(2007 가을학기)
- 동양사회경제사(2010 봄학기, 2012 가을학기)
- 동양사학연구지도(2012 봄학기, 2013 봄학기, 2014 봄학기, 2015 봄학기)
- 동양사한문사료강독(2008 봄학기, 2009 봄학기, 2012 봄학기, 2013 봄학기, 2014 가을학기)
- 신사와 중국사회(2007 가을학기, 2008 가을학기, 2009 가을학기, 2010 가을학기, 2012 가을학기, 2013 가을학기)
대학원
- 동아시아국제관계사연구(2008 가을학기, 2015 봄학기)
- 동아시아근세사연습(2007 가을학기, 2012 가을학기)
- 명대사연구(2014 가을학기)
- 월남사연구(2010 가을학기)
- 중국신사층연구(2010 봄학기, 2014 봄학기)
- 중국토지제도사연구(2012 봄학기)
- 청대사연구(2009 가을학기, 2013 가을학기)
- 대학원 논문연구(2007-2015)